[204호] 디지털 피로 시대, 나를 위한 로그아웃

멈추지 않는 연결, 쌓여가는 과의존

현대 사회는 디지털이 일상이 된 시대이다.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 조사에 따르면 만 3세 ~ 69세 스마트폰 이용자 중 22.9%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해당한다. 특히 유·아동과 청소년의 비율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조사에서도 성인 하루 스마트폰 평균 사용 시간은 5시간 17분, 10대는 7시간 26분으로 나타났다. 일과 여가를 모두 스마트폰으로 소비하는 현실 속에, 디지털 피로는 누구에게나 익숙한 감각이 되어가고 있다.

흐려지는 자아, 지쳐가는 정신디지털 피로 증후군

출처: Pixabay

디지털 기기에 과도하게 노출된 삶은 단순한 신체 피로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전문가들은 이를 디지털 피로 증후군(Digital Fatigue Syndrome) 이라고 정의하며, 지속적인 정보 자극과 다중작업으로 인한 인지 피로, 감정 과부하, 집중력 저하 등이 주요 증상이라고 설명한다. 최근에는 디지털 이명(Digital Tinnitus)과 디지털 안구 피로(Digital Eye Strain) 또한 주요 증상으로 지적된다. 디지털 이명은 알림이 울린 것 같은 착각이나 환청 증상을 말하며, 디지털 안구 피로는 장시간 화면 응시에 의한 안구 건조, 시야 흐림, 두통 등을 뜻한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연구에서는 SNS 시간을 하루 30분 이하로 제한할 때 우울감과 외로움 수치가 의미 있게 감소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디지털 피로가 단순 피로를 넘어, 정신 건강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 준다.

피로를 멈추는 다양한 방법들

디지털 피로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근 많은 이들이 SNS 계정을 삭제하거나 새롭게 개설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리셋을 시도하고 있다. 더 이상 타인의 시선과 비교 속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정체성을 유지하기보다는, 불필요한 관계를 끊고, 스스로의 감정과 일상에 집중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공공기관 차원에서도 디지털 피로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운영되고 있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산림치유지도사가 함께하는 숲속 힐링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인의 심신 회복을 돕는다. 자연과의 접촉은 시각, 후각, 청각 등 오감을 자극하며 디지털 자극에서 멀어질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연중 운영되며 전국 산림복지시설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반면, 꼭 정해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일상 속 작은 실천으로 디지털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타임 기능이나 FOREST와 같은 앱을 활용해 자신의 휴대 전화 사용 패턴을 확인하고 자발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 알림을 비활성화하여 정보 과부하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이는 것도 방법이다.

지금, 나를 위한 로그아웃

디지털 세상은 우리에게 수많은 정보를 제공하지만, 그만큼 많은 에너지를 요구한다. 중요한 것은 기기를 완벽하게 끊어내는 것이 아닌, 나에게 맞는 방식으로 일상에서 천천히 거리 두기를 실천하는 것이다. 아침에 휴대 전화부터 확인하는 습관을 잠시 멈추고 늦춰 보는 것, 잠들기 전 30분을 책이나 명상으로 채우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변화가 시작된다. 특정 시간대를 SNS 휴식 시간으로 정하거나, 일정 기간 계정을 비활성화하는 것도 방법이다.

작고 사소한 변화들이 쌓이면, 우리는 다시금 나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는 여유를 되찾게 된다. 화면 속 타인의 삶이 아닌, 내 생각과 감정에 귀 기울이는 시간. 진짜 ‘나’와 마주하기 위한 첫걸음은 거창하지 않다. 오늘, 나를 위한 로그아웃이면 충분하다.

전세영 수습기자 sophia_0324@naver.com

[참고]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99&mPid=74&pageIndex=1&bbsSeqNo=79&nttSeqNo=3173672&searchOpt=ALL&searchTxt=%EC%8A%A4%EB%A7%88%ED%8A%B8%ED%8F%B0+%EA%B3%BC%EC%9D%98%EC%A1%B4+%EC%8B%A4%ED%83%9C%EC%A1%B0%EC%82%AC
https://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2683
https://penntoday.upenn.edu/news/social-media-use-increases-depression-and-lonelines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ight like

© 2025 서울간호학보사 - WordPress Theme by WPEnj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