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호] 간호사의 눈으로 바라본 신약개발, 이은선 동문의 이야기

이번 203호에선 서울여자간호대학교의 자랑스러운 ‘이은선 동문’을 취재했다. 이은선 동문은 본교 졸업 후, 호주에서 생활하며 신약개발 관련 임상시험 업무에 종사했다. 현재는 미국에 거주하며 Research Scientist가 되기 위해 박사학위를 준비하고 있다.

신약개발이란, 일반적으로 신약후보물질 도출부터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는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의약품으로 시판허가를 받는 일련의 모든 과정을 포함합니다. 임상시험 진행과 관련하여 다양한 직책이 존재하며, ‘의학, 간호학, 기초과학, 공학, 약학’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구성원이 팀을 이뤄 의약품 연구개발에 참여하며, 직업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로서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분야에 도전한다는 생각으로 미개척 분야를 찾던 중 MSD 제약회사에서 Pharmacovigilance(PV)로 일할 기회를 얻게 됐습니다. PV는 의약품 등의 이상 사례 또는 안전성 관련 문제와 관련된 일을 하는데, 이 업무로 직업에 대한 시야가 넓어졌고 앞으로의 전망 또한 밝다고 생각하여 10년 넘게 성실히 일하다 보니 한 회사의 임원 자리까지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 이런 경험이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신약개발의 장점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과 협업을 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업무에 대한 시야가 세계적 기준에 맞게 확대될 기회가 많다는 것입니다. 또한, 각각의 업무에 있어 반복적이지 않고 매번 새로운 기획을 수행함으로써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해외 기업과의 협업으로 인하여 시차를 상대국에 맞춰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시간 관리에 자신 있으신 분께 추천하고 싶은 직업입니다.

Idiopathic Multicentric Castleman Disease(iMCD)라는 희귀질환의 경우, 치료제가 없어 지지요법(Supportive Care)만 가능한 상황이었으나, 제가 관여했던 임상시험에서 피험자들의 증상 호전을 보면서 일에 보람을 느꼈습니다. 환자의 증상 완화뿐만 아니라 Progression-free survival(PFS)가 향상된 결과를 보면서 직업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되었으며, 결과를 보면서 더욱 성실하게 일하게 됐던 것 같습니다.

모든 분야에서 마찬가지겠지만, 신약개발과 관련된 일을 하게 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의 능력을 요구하므로, 스스로의 동기부여와 자기 계발 없이는 오래 남아있기 어려운 직업입니다. 임상시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학지식뿐만 아니라, Research 관련 지식, 영어능력, 컴퓨터 관련 지식, Project Management와 관련된 능력 등 다양한 지식과 능력을 요구합니다.

저는 의학지식을 늘리기 위해 Family NP(Nurse Practitioner)가 되었고, 임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Certified CRA / Certified PM이 되었으며, 컴퓨터와 관련된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Scientist로 한 발자국 더 다가가기 위해 공부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할 수 있는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와 CCRA(Certified Clinical Research Associate) 자격증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 관리자(PM)를 위한 자격증은 학사 학위 이상의 학력과 프로젝트 관리 분야에 3년 이상 경력 및 35시간 이상의 공식 교육 이수자에 한해 미국 프로젝트 관리 협회(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주관하는 자격시험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집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적 인정을 받은 이 자격증은 글로벌 프로젝트의 관리 역량을 입증함과 동시에 세계적 기업에 취업 및 승진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다음은 미국 임상시험 전문가 학회(ACRP, The Association of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가 주관하는 CCRA(Certified Clinical Research Associate) 자격증입니다. 시험 응시조건은 최소 3,000시간 (약 2년)의 human subject research 경험이 요구됩니다. 임상시험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가하면서 임상시험 담당자의 전문성 또한 중요시되고 있으며, 글로벌 임상 연구 업계에서 높은 신뢰도를 자랑하는 이 자격증은 임상시험의 방대한 규정을 이해하는 전문가로 다국적 제약사나 글로벌 clinical research organization에서 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Nurse Practitioner(NP)란, advanced practice registered nurse(APRN)의 유형 중 하나로 자격 조건은 RN으로서 석사(MSN) 이상의 학위입니다. 주요 역할은 주별 법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환자 진단, 치료, 처방 등과 같은 진료를 하며, 이 자격증으로 대형병원에서 근무하거나 개인병원을 개원할 수도 있습니다.

저의 목표 지향적인 성향으로 인해 이 분야에서 끊임없이 발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성취감은 언제나 목표를 달성하게 하고, 끊임없이 성장하게 해줬습니다. 성취감을 좋아하는 자로서, 끊임없이 빠르게 변화하는 이 일을 사랑할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여러분들도 졸업 후 즐길 수 있는 일을 찾길 바라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ight like

© 2025 서울간호학보사 - WordPress Theme by WPEnjoy